3.140.185.147
3.140.185.147
close menu
KCI 등재
『여성동아(女性東亞)』를 중심으로 본 비혼 여성 담론의 시론(試論)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Discourse of Single Women in Women’s Magazines 『여성동아』
공나형 ( Nahyung Kong )
인문사회 21 11권 3호 13-27(15pages)
DOI 10.22143/HSS21.11.3.2
UCI I410-ECN-0102-2021-000-001167693

본고는 여성 잡지에서 그려지는 비혼 여성에 대한 담론에 사용된 언어적 특징을 비판적 담화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 사회과학 및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여성 담론과 관련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척되었지만, 대부분 기혼 여성에 한정되어 온 한계가 있었다. 본고는 한국이 근대화를 도모하던 1960년대부터 여성의 권리 신장 담론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2000년대까지 15년 단위로 나누어 『여성동아』를 중심으로 비혼 여성 담론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혼 여성들은 여성 잡지에서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만 전면적으로 등장하였으며 이후에는 배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은 성적인 매력을 지닌 순결한 존재, 생래적 모성을 지닌 예비적 기혼 여성으로 그려지고 소위 사회가 규정한 결혼 적령기를 지난 경우에는 제도 거부가 아닌 능력 부족에 따른 좌절된 여성으로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에서 드러나는 언어적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ourse of single women in the women’s magazine through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 Until now, research on women’s discourse has been progressed in various aspects from the socioscientific and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However, in most case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ithout distinguishing them by maternal discourse, status, or class. By dividing the time from the 1960s to the 2000s when Korea promoted modernization into 15-year periods, this paper analyz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single women’s discourse in the magazine 『여성동아』,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e periphery of women’s discourse. As a result, single women appeared entirely in women’s magazin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and they were depicted as pure beings with sexual attraction, as preliminary married women with naive motherhood. This paper present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is aspect. Through this, I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 image of unmarried women produced and consumed in Korean society.

I.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설명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