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59.150
18.119.159.150
close menu
초월적 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cendental Beauty
장연정 ( Jang Yeon-jeong )
전시디자인연구 33권 15-29(15pages)
DOI 10.34144/EDS.33.2
UCI I410-ECN-0102-2021-600-001159495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대에서 미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하여 ‘초월적 미’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설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문헌을 통해 미 개념의 본질과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전통적으로 미는 객관적 기준에 부합하고 동시에 주관적 감정의 반응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예술은 진실 되고 도덕적으로 옳은 가치와 관계되어 고귀하고 엄숙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19세기 모더니즘이후 격변하는 시대에서 사람들은 전통의 것보다는 새로운 것에 대한 갈망과 문명의 이기(利器)를 선택하게 되었다. 이로서 미는 진리와 선에서 분리되어 전통적 미의식의 관점으로 볼 때 불쾌한 것, 끔찍한 것, 혐오스러운 것, 충격적인 것들이 예술작품의 소재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인류가 추구해온 아름다움이라는 미의 본질적 가치가 훼손 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공허하고 무의미한 형식의 ‘알 수 없는 무엇’이라는 정신의 한계를 ‘초월하는 미’로 발전 되었다고 본 것이다. 연구는 미 개념의 고찰을 통해 객관적 미, 종교적 미, 주관적 미, 초월적 미 개념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 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객관적 미 : 객관적 미는 진실 되고 도덕적으로 옳은 것과 관계되어 보편적 가치이자 비례, 조화, 대칭과 같은 객관적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 종교적 미 : 종교적 미는 완벽한 신의 존재와 위대함을 증명하기 위해 인간의 힘으로 증명하고 도달할 수 없는 ‘빛과 색채’의 감각적 표현에 의한 것을 의미하였다. ●주관적 미 : 주관적 미는 ‘경험’을 통해 주체의 주관적인 마음의 작용과 평가로부터 인지되는 것이며 어떤 대상이 아름다운가는 개인의 취미로부터 나오는 문제로 취급되는 것을 의미하였다. ●초월적 미 : 초월적 미는 사람들이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세계에서 살아가면서 예술과 디자인을 통해 고뇌, 분노, 외로움, 공포와 같은 부정적 감정의 이입을 통해 불쾌감에서 쾌감으로 해소되는 고도의 정신활동의 작용을 의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beauty’, and also to explain its characteristic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beauty in the present time. For this, this study considered the essence of the concept of beauty and change process through literature. And in this process, the beauty was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would accord with the objective standard and also mean the response of subjective emotions. And the arts were expressed as something noble and solemn in the relation with morally-right and true values. However, as the modernism separated the beauty from truth and goodness, the value of beauty was dismantled, and then, something unpleasant, horrible, disgusting, and shocking i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ppeared as materials of artistic works. Thus, the beauty was alienated from the role in giving happiness and pleasure any more. And in the rapidly-changing era, the lives of people who selected the gifts of civilization and longing for newness over something traditional, became risky and heartless. Thus, people regarded the beauty as something that could be discovered ‘when filled with psychological pleasures’. This is not that the universal value of beauty pursued by mankind has been dismantled, but that it has been transformed to the beauty transcending the limit of spirit which is ‘something unknown’ through the empty and meaningless form. As a result,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s of ‘objective beauty’, ‘religious beauty’, ‘subjective beauty’, and ‘transcendental beauty’.

1. 서론
2. 미 개념의 전개
3. 초월적 미 개념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