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3.73
3.144.93.73
close menu
KCI 등재
언간에 나타나는 ‘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ㅅ)’ in Eon’gan
이래호 ( Lee Rae-ho )
영주어문 45권 151-176(26pages)
DOI 10.30774/yjll.2020.06.45.151
UCI I410-ECN-0102-2021-700-001157914

본고는 언간 자료를 대상으로 소위 사이시옷이라 일컬어지는 ‘ㅅ’의 속격적 기능과 합성어 표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고 ‘N+ㅅ+N’을 합성어로 볼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에 실린 언간 1465건을 대상으로 하여 언간에서 ‘ㅅ’이 쓰인 예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예들을 바탕으로 ‘ㅅ’의 표기 양상, 속격 조사로서의 ‘ㅅ’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언간에서 ‘ㅅ’의 표기 양상은 특정 유형으로 나타나며, ‘ㅅ’이 속격 조사로서 쓰이는 예는 극히 드물며 특정 구문을 제외하고는 속격 조사로서의 기능은 18세기에 소실된다. 그리고 합성어 ‘N+ㅅ+N’을 유형적으로 분류하여 이를 바탕으로 합성어를 판정하는 세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글 편지에 나타나는 ‘N+ㅅ+N’은 이 기준 안에서 대부분 합성어로 판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function of genitive postposition of ‘s(ㅅ)’ and its function as a compound word mark and establish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N1+s(ㅅ)+N2' as a compound word. For this purpose, examples of ‘s(ㅅ)’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the collection of Eongan(Korean letter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examples, we looked at the writing patterns of ‘s’ and the function of ‘s(ㅅ)’ as a genitive postposition. In the letter, ‘s (ㅅ)’ is written in several type. ‘s(ㅅ)’ is rarely used as a genitive postposition and this function is lost in the 18th century except for one particular type. Finally, three criteria were set to determine the compound wor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und word ‘N+s+N’.

1. 서론
2. 언간에서 ‘ㅅ’의 표기법
3. 속격 조사로서의 ‘ㅅ’
4. 합성어 표지로서의 ‘ㅅ’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