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16.183
18.217.116.183
close menu
KCI 등재
산강(山康) 변영만(卞榮晩)의 죽음 인식과 그 의미 - <원사(原死)>를 중심으로 -
Sangang Byeon Young-Man’s Perception of Death and Its Meaning - Focusing on < Wonsa > -
金東鍵 ( Kim Dong-geon )
영주어문 45권 203-224(22pages)
DOI 10.30774/yjll.2020.06.45.203
UCI I410-ECN-0102-2021-700-001157934

卞榮晩의 <原死>는 ‘죽음이란 무엇인가’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그의 독특한 生死觀을 드러낸 글이다. 이 글은 儒學의 精髓를 꿰뚫는 동시에 죽음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고찰함으로써 독자에게 인식의 전환을 유도한다. 아울러 後生이 계속 이어지면서 세상은 발전해 나간다는 긍정적 미래관도 함께 하고 있다. 본고는 <원사>라는 글을 ‘한계의 수용’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변영만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확인하였다. <원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초입에,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話頭를 던지고 있다. 특히 매 단락에서, “이렇게 본다면 죽음이란 슬퍼할 것이 없다.[如是觀焉, 死無足悲矣.]”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불교를 비롯한 특정 종교에 기대지 않은 변영만 자신의 독특한 관점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글 전체를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살펴보며 분석했는데, 이는 저자가 치밀하게 의도한 단락 구분으로 인간의 한계를 수용하면서 죽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드러냄으로써 독자의 인식 전환을 이끌어 내는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원사>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깊은 철학적 성찰이 수반되었다. 특히 한문학의 전통 속에서 본 죽음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결국 죽음은 슬퍼하거나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고 역설하였다. 두려워할 것은 죽음이 아니라 오히려 後生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원사>는 유학적 기반에서 서술되었고, 불교나 장자 사상과 기독교의 교리에 기대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이 아메리카 인디언의 관점과 유사하다는 점 역시 매우 특이한 부분이다. 또한 이 글이 조선이 멸망하는 시점에 지어졌다는 것을 볼 때, 민족의 大心學을 추구한 그가 후생에게 바란 것이 무엇인지 짐작해 볼 수 있다.

Byeon Young-Man’s < Wonsa > can be translated into ‘What is death?’ and indicates his unique view on life and death. This article encourages a change in readers’ recognitions by having insight into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giving consideration to death from various angles. Moreover, this article contains a positive view of the future that as next generations continues, the world develops. This paper identified Byeon Young-Man’s perception of death and its meaning by analyzing < Wonsa > in two aspects; ‘acceptance of limitations’ and ‘a change of recognition’. < Wonsa > brings up a conversation topic of human mindset at the entranc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specially, the phrase saying “In this sense, there is no need to be sad about death [如是觀焉, 死無足悲矣.]” is repeated in every paragraph and this is to emphasize Byeon Young-Man’s own unique perspective not to rely on specific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In this paper, the whole text was classified into six sections and they were analyzed in regular sequence. This division of paragraphs was precisely intended by the author and he made an attempt at writing to change readers’ recognitions by accepting the limitations of human abilities and revealing his view on death. < Wonsa > accompanies a deep philosophic insight into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s. In particular, he considered death revealed in the tradi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stressed that in the end, death was nothing to be sad about or afraid of. His writing displays that in deed, later life is what we should be afraid of. < Wonsa > was written based on the Confucian idea and did not even rely on Buddhism, Chuang-tzu’s thought and Christian doctrines. This highly resembles the perspective of American Indians and is an interesting part, too. Besides, given that this article was written when the Joseon Dynasty was about to end, we can figure out what he looked for from his next generations, seeking Daeshimhak of the people.

1. 머리말
2. 한계의 수용
3. 인식의 전환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