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00.143
18.222.200.143
close menu
KCI 우수
빅데이터 정책 유행: 한 행정학자의 ‘간증(testimony)’으로서의 자문화기술지
Big Data policy as a fashion: Autoethnography as personal “testimony” of a scholar
김동환 ( Kim Dong-hwan )
UCI I410-ECN-0102-2021-300-001149716

최근 빅데이터라는 단어는 우리 사회의 뇌리를 지배하고 있다. 지난 5년간 나는 빅데이터에 관한 환상이 거품에 불과하며, 빅데이터 정책은 하나의 유행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많은 학자들이 빅데이터를 신봉하고 있을 때, 나는 빅데이터의 허구성을 말할 수밖에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나는 간증 형태의 자문화기술지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내가 겪은 일곱 개의 장면들을 간증하면서, 빅데이터 정책 현상을 나는 왜 유행으로 인식하였는지 그리고 그러한 정책 유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지식인들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간증은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증언을 하는 것이다. 일곱개의 장면들은 빅데이터를 둘러싼 사회와 나에 대한 ‘증거(evidence)’이다. 이 증거를 보여주기 위하여 나는 간증한다.

In recent years, the term “big data” has dominated people’s thinking. For the past five years, I have criticized the policy of big data as a merely intellectual fad and a bubble, and published a book titled Big Data Is a Bubble. This paper attempts to show why I did so, when almost all scholars in Korea advocate the policy. To illustrate this, I write down my personal experience in the form of the testimony of Christian religion. As I testify to the seven scenes of personal experience on the big data fad in Korea, I want to show how I met with my academic mentor of public administration, how I became involved with telecommunication and internet policy, when and how I and my colleagues were faced with a big data policy, how much intellectuals in Korea were attracted to and believed in big data, and what kinds of social mechanisms among public officials and intellectuals were responsible for this fad. The purpose of a testimony is to present the evidence of personal experience. The seven scenes are evidence of my experience around the Big Data phenomenon. I bear my testimony to show this evidence.

Ⅰ. 시작하는 말
Ⅱ. 자문화기술지로서의 간증
Ⅲ. 장면 1: 처음 만난 행정학자
Ⅳ. 장면 2: 정보통신 정책과의 만남과 이별
Ⅴ. 장면 3: 뜻밖의 빅데이터
Ⅵ. 장면 4: 수많은 빅데이터 프로젝트
Ⅶ. 장면 5: 유행으로서의 빅데이터 정책
Ⅷ. 장면 6: 정책 유행과 지식인의 역할
Ⅸ. 장면 7: 동료 연구자들과의 대화
Ⅹ. 맺는 말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