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김정한 소설에 나타난 ‘남양군도(南洋群島)’의 제국주의와 폭력의 양상
The Imperialism and Violence in ‘the Southern Islands (남양군도, 南洋群島)’ in the Novel by Kim Jeong-han
하상일 ( Ha¸ Sang-il )
비교문화연구 59권 31-54(24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09092

김정한의 소설에서 장소는 아주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소설은 ‘낙동강’을 중심으로 평생을 살아온 토착 민중들의 삶을 통해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을 서사화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런데 이러한 지역적 사유와 장소성은 체험적 장소의 구체화라는 차원을 넘어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김정한의 소설에서 이와 같은 문제의식이 본격적으로 쟁점이 되었던 것은 1970년대 ‘오키나와’를 주목하면서부터이다. 식민지 시기 낙동강 주변의 역사적 현실과 오키나와의 역사를 겹쳐서 읽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은 제국과 식민의 상처를 공유한 아시아의 여러 장소들을 동질적으로 바라보려는 문제적인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김정한은 오키나와가 지닌 장소성을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주목했는데, 첫째는 일제 말의 상황과 1960년대 중반 이후 강화되어 갔던 신제국주의 현실을 연속성의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국가주의에 희생된 오키나와 계절노동자의 실상을 비판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1970년대 중반 오키나와에 계절노동자로 파견된 여성들의 열악한 노동 현실이 일제 말 오키나와를 비롯하여 중국과 중부태평양 등으로 끌려간 일본군 위안부의 현실과 연결된다는 사실을 부각하는 것이었다. 즉 일제 말 위안부의 현실과 오키나와 계절노동자의 실상을 연속성의 시각에서 읽어냄으로써 제국주의 폭력이 국가주의 폭력으로 이어지는 식민지의 연속성 문제를 비판적으로 쟁점화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김정한 소설의 지역적 장소성을 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하여 식민지 역사에 대한 올바른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식민지 청산의 소설적 과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이와 같은 김정한 소설의 문제의식이 오키나와를 출발점으로 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였던 남양군도로 이어져 나갔다는 점에서 미완성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를 중심으로 일제 말제국주의 폭력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이러한 외연 확장은 식민지 청산이라는 소설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지역적 장소성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하여 경험의 서사와 기록의 서사 사이에서 소설적 진실을 새롭게 찾아가는 창작 과정의 변화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김정한의 소설은 경험의 서사가 미치지 못하는 역사적 진실의 한계를 기록의 서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증언하고 고발함으로써 일제 말 제국주의 폭력의 양상을 사실적으로 서사화 하고 기록하는 소설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In Kim Jeong-han's novel, a sense of place has a very special meaning. His novel focuses on criticizing the colonial reality through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who have lived their lives around the Nakdonggang River. However, these regional reasons and placements must be expanded to a more Asian perspective, beyond the dimension of concreteizing an empirical place. Kim Jeong-han’s novel had this kind of problem when he took note of "Okinawa" in the 1970s. He wanted to read the historical reality around the Nakdong River and the history of Okinawa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was caused by a problematic view of looking homogenously at various places in Asia that shared the scars of empires. Kim Jeong-han in Okinawa are part of the placeness in the great Japanese horse, the situation and attention in two respects reinforced since the mid-1960s to clarify the new imperialism which takes advantage of reality. The continuity in terms of nationalism by understanding the victims of Okinawa, criticizing the reality of a seasonal laborer, and second, in Okinawa in the mid 1970s. Migrant workers placed in the poor reality of the labor of women in Japanese central Okinawa, including China and the end, taken to the reality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Pacific. The fact connected. Which during the realitie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Okinawa, a seasonal laborer by conve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about the reality that imperialist colonial violence is nationalism led to violence. Critically to do an issue of continuity problems. In this question-and-answer ceremony, this paper expanded the local location of Kim Jeong-han's novel to focus on the correct evaluation of colonial history and the novel task of the colonial liquidation based on it. In particular, we discuss the aspects of imperialistic violenc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focusing on the unfinished unpublished work "Lost Tomb (「잃어버린 山所」)" in that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Kim Jeong-han's novel led to the South Sea Islands (남 양군도, 南洋群島), a battleground of World War II, from Okinawa to the starting point. This outward expansion can be understood as revealing the change in the creative process of finding novel truth anew between the narrative of experience and the narrative of record beyond the limits of local placeability in performing the fictional task of colonial liquidation. Kim Jeong-han's novel re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he novel, in which he wrote and documented the aspects of imperialistic violence at the end of Japan's colonial rule, by testifying and accusing the limits of historical truth that the narrative of his experiences could not reach.

1. 김정한 소설의 장소성과 아시아적 시각
2. 일제 말의 서사화와 식민지 청산의 과제
3. ‘남양군도’의 제국주의와 폭력에 관한 서사적 기록
4. 경험의 서사를 넘어선 소설적 진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