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24.8
18.216.124.8
close menu
KCI 등재
공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어 학술 논문 작성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English Journal Writing by 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김남희 ( Kim¸ Namhee )
비교문화연구 59권 55-80(26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09103

본 연구는 공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영어 학술 논문 작성에 관한 실태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5개 대학의 공학 전공 대학원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영어 사용 상황과 전공 ESP 수업의 경험과 효과, 그리고 영어 논문 작성 현황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공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영어 자가 평가에서는 쓰기와 문법, 어휘, 말하기 영역들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영어 사용 상황에서는 읽기를 제외한 말하기, 듣기, 쓰기, 어휘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수강했던 전공 ESP 수업은 현재 영어 논문 작성에 많이 도움은 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전공 영어 수업 유형은 교수의 강의와 개인 지도로 나타났다. 영어 학술 논문 작성 현황으로는 응답자들의 영어 학술 논문 투고 경험은 적었고 영어 논문 작성이 한글 논문 작성보다 2배 이상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논문 작성에는 지도교수의 도움이 가장 많았으며 문장간의 논리적인 연결에 가장 많은 지도를 받았다. 또한 영어 논문 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과 가장 어려 운 부분도 모두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응답자들은 논문 작성에서 문법과 어휘 사용의 어려움도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위한 영어 학술 논문 작성 ESP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English journal writing by 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101 graduate students in engineering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survey inquired about the participants’ current state of English usage, their experiences with ESP courses, and their current state and difficulties with using academic English for journal writ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in areas of speaking, writing, listening, and vocabulary when using English in their academic contexts. Moreover, their previous experiences with ESP courses were not helpful in writing academic English. Also, they preferred an ESP class with personal assistance. In terms of publishing academic papers, they required more than twice the amount of effort to write in English as in Korea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logical connections in paragraph development were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feature in English journal writing. In addition, the students needed support in both grammar and vocabular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