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1.94
3.16.81.94
close menu
KCI 등재
<아모레스 페로스>(Amores perros)에 나타나는 실재계와의 만남
A Study on the Encounter with the Real in Amores perros
최은경 ( Choi¸ Eun-kyung )
비교문화연구 59권 229-259(31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09158

멕시코 감독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튜(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 1964~)의 영화 <아모레스 페로스>(Amores perros, 2000)는 “옥타비오와 수산나”(Octavio y Susana), “다니엘과 발레리아”(Daniel y Valeria) 그리고 “치보와 마루”(El chivo y Marú)라는 세 개의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에서 주인공들은 그들이 사랑을 갈구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들이 키우는 개들과 닮아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위의 세 가지 이야기를 쟈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대상의 허상성, 숭고한 대상의 붕괴, 실재계와의 만남, 대타자 (선)정립의 부정, 및 부정태와 함께 체재하기라는 주제로 연구한다. 필자는 우선 세 가지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계층(하층, 중산층, 상류층 및 빈민층 사람들)이 쫓는 욕망의 대상―여성, 화려한 삶에 대한 야망, 이데올로기―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숭고한 대상의 위치까지 고양된 사물이기에, 영화 속 주인공들은 숭고한 대상의 붕괴를 경험한다고 주장한다. 이후, 필자는 앞선 두 장의 이야기들에서 주인공들이 숭고한 대상의 붕괴 이후에도 다시 욕망의 대상을 쳇바퀴 돌 듯 쫓는 반면, 마지막 장의 주인공은 이미 욕망대상의 허상성을 깨달은 채로 이야기가 시작됨을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그가 실재계와 만나는 장면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그가 이 만남을 계기로, 자신의 ‘시위적’ 저항의 삶을 버리고, 대타자의 (선)정립을 부정하며, 부정태와 함께 체재하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The Mexican director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1964~)’s movie Amores perros is comprised of three chapters such as “Octavio y Susana,” “Daniel y Valeria,” and “El chivo y Marú”, and the protagonists of each chapter resemble their dogs in the manner that they seek love. In this study, I examined these three stories under the theory of desire by Jacques Lacan, especially in “the fictitious characteristic of the dignified object,” “the destruction of the elevated object into the dignity of the Thing,” “the encounter with the real,” “the negation of the (pre)supposition of the Big Other,” and “tarrying with the negative.” First, I examined the objects of desire of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the lower, the middle, and the upper classes and the homeless) shown in each chapter, such as women, ambition for a luxurious life, and ideology. And I concluded that, since their objects of desire are elevated to the dignity of the Thing, the protagonists of each chapter experience the destruction of their dignified objects of desire. Then, I suggest that, different from the protagonists of the previous two chapters who repeat the same vicious circle of desire, the protagonist in the third chapter appears on screen already realized the fictitious characteristic of the dignified object of desire. Especially, I focus on his encounter with the real, which results in his desertion of his “demonstrative” resistance to life, and which liberates him from the symbolic order and makes him tarry with the negative and to live a new life by denying the (pre)supposition of the Big Other.

Ⅰ. 들어가며
Ⅱ. 본문
Ⅲ.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