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36.203
13.59.36.203
close menu
KCI 등재
공무원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국가직 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civil serva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ate employment
최선미 ( Seon-mi Choi ) , 김정숙 ( Jungsook Kim )
사회과학논집 51권 1호 183-213(31pages)
DOI 10.31502/SSRI.51.1.8
UCI I410-ECN-0102-2021-300-001101223

이 연구는 공무원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공무원의 개인적·제도·조직적 요인이 삶의 질과 공직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직 여부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재적 동기로서 승진이 삶의 질과 공직만족,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역시 삶의 질과 공직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인 공공봉사동기는 삶의 질과 공직만족,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봉사동기 변수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무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업무 특성으로서 업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질과 공직만족도,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내 관계의 경우 종속 변수에 따라 세부독립 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직 여부의 조절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직이 국가직에 비해 업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국가직에 비해 지방직에 좀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승진이 공직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지방직 공무원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애가 공직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역시 지방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도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지방직의 경우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ivil servants. To this end, the 2018 public life survey wa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ublic officials' personal factors,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the regulation of national stat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muneration and promotion, which are external motiv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while not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is an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coefficient was higher than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ivil servants. The effect was confirmed to be the main variable. Third, as job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job autonomy,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job stress does not. Fourth,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within the organization, the effect of the detailed in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fferent. Lastly, the higher the autonomy of work,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local workers,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weaken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local jobs,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weakened.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promotion on public office satisfaction was lower in the case of government employees, and the positive effect of fellowship on public office satisfaction was also lower in the case of national workers than in local work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