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90.144
3.15.190.144
close menu
KCI 등재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양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Critical Literacy in Literature Education
박수민 ( Park Soo-min )
문학교육학 67권 69-89(21pages)
DOI 10.37192/KLER.67.3
UCI I410-ECN-0102-2021-800-001096039

비판적 교육학이 변모하여 온 만큼 비판적 문식성 개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문학교육과 국어교육 연구자들 역시 비판적 문식성 개념을 조금씩 다르게 재개념화한다. 본고는 문학교육 담론에서 비판적 문식성이 재개념화되어 온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문식성 용어 사전에는 나오지 않지만 문학교육 담론에서는 유효한 비판적 문식성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한다. 연구 방법은 담론 분석으로 1990년대 이후 문학교육 안팎에서 생산된 비판적 문식성 담론을 비교하고 영향 관계를 도출하여 메타언어로 기술한다. 분석에 의하면 1990년대와 2010년대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은 상이하다. 전자의 비판적 문식성을 ‘문학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문제 삼는 능력’이라고 한다면 후자의 비판적 문식성은 ‘맥락을 고려하여 복잡하게 생각하는 능력’에 가깝다. 이러한 변모의 주요 계기는 2010년 전후 독서교육의 비판적 문식성 담론과 주고받은 상호작용이다.

As critical pedagogy continues to change, the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is not fixed ei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reconceptualize critical literacy slightly differently. This paper confirms the reconceptualization of critical literacy with a focus on literary education. Through th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specific meaning of critical literacy. It does not appear in the literacy dictionary but is valid in the discourse of literatur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discourse analysis. In short, it reviews the discourse of critical literacy since 1990s, produced both inside and outside literary education, then write the close relationships in meta-langu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ritical literacy assumed in literary education in the 1990s and 2010s is clearly distinguished. Critical literacy in the former is the ability to criticize the ideology of literature. In the latter, i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flect in context.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the discourse of critical literacy in Korea language educationa around 2010.

1. 서론
2. 문학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문제 삼는 능력으로서 비판적 문식성
3. 맥락을 고려하여 복잡하게 생각하는 능력으로서 비판적 문식성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