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9.138
3.142.199.138
close menu
KCI 등재
숭고미학의 관점으로 본 한글의 이미지성
The Imagery of Hangul from the Viewpoint of the Sublime Aesthetics
김동빈 ( Kim Dong-bin )
우리어문연구 67권 299-327(29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1056069

문자의 본래적 기능은 ‘쓰기와 읽기’에 바탕을 둔 문자성에 있었다. 문자성이란 문자로 형성되는 글의 속성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사고방식 및 일련의 문화를 말한다. 문자성은 글쓰기의 대상과 주체의 분리를 통한 객관성을 중요한 조건으로 하면서 지식을 구조화한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질료로 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문자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20세기 이후,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범주에서 문자의 역할은 문자성에 국한되지 않고 읽는 문자에서 보는 문자로의 이행현상이 나타나면서 문자의 이미지성이 주목받게 됐다. 이 현상은 21세기에 이르러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산되고 심화됐다. 문자의 이미지성은 표현하는 주체의 직관적 감성에 기댐으로 인해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체와 대상 사이의 객관화를 전제로 하는 문자성과는 대립적 위치에 있다. 문자의 이미지성은 문자를 매개로 하지만 구술성의 감성적이고 유연하며 추상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한글 타이포그래피 표현에 있어서도 읽는 문자에서 보는 문자로의 이행 현상은 예외가 아니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쓰기와 읽기’라는 문자성에 종속되는 규칙이나 방법들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문자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한글 타이포그래피 표현 방식에 대해서 기법상의 전위와 실험을 철학적으로 전치시켜 표현하는 주체의 방법상의 원리로 삼는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문자성을 완전히 이탈한 것이라 할 수 없으며 문자성 너머에서 문자를 통한 존재 세계와의 교섭의 결과이자 어떤 대상에 대한 인간의 내적 감정과 상태를 포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결과다. 한글은 읽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보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쓰기와 그리기 사이에서 표현의 경계를 자유롭게 오가고 있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우리가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미적 현상이 되었다. 여기서 미적 현상이라 함은 단편적인 시각적 양상이 아니라 표현하는 주체의 관념이나 이념 등을 외적으로 드러낸 결과를 가리킨다. 미적 현상으로서 한글의 이미지성은 문자성의 범주 안에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해 내고 있다는 데서 숭고의 미학을 공유할 수 있다. 숭고는 대상의 양상이나 성질이 아니라 대상과 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한글의 이미지성의 숭고는 문자성의 전통과 규칙을 넘어서고 있는 대상 혹은 문자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인식의 바깥에서 예기치 않게 나타나는 대상을 통해서 경험되는 감정의 움직임이자 심미적인 체험이다.

The original function of letters was in the literacy based on ‘writing and reading’. Literacy refers to the nature of writing formed by letters, the way of thinking derived from it, and a series of cultures. Literacy structures knowledge with objectivity through separation of object and subject of writing as an important condition. The typography is closely related to literacy in that it is part of visual communication activities to convey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using letters as material. Since the 20th century, the role of letters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in typography has not been limited to literacy, but to the transition from reading letters to viewing letters, drawing attention to the image of letters. By the 21st century, this phenomenon had become more widespread and intens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Because the imagery of literacy has emotional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as it is based on the intuitive sensibility of the subject expressing, it is at odds with the character performance based on the premise of objectiv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writing. It is also the result of capturing the inner feelings and conditions of human beings formed through the physical perception centered on vision, which is the constant generation and occurrence that occurs beyond the literacy. The imagery of letters is made by the medium of letters, but they share the emotional, flexible and abstract features of orality. In terms of Korean typography,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from reading letters to viewing letters is no exception. Imagery of Hangul is not subject to rules or methods that depend on the character ‘writing and reading’. In additio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typography of Hangul, which has been centered on letters, is used as the principle of expressing the subject's method by philosophically transposing the technique potential and experiment of the technique. The imagery of Hangul is not completely deviated from its literal nature, and it is the result of negotiations with the world of existence through letter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inner feelings and conditions of human beings on a subject. Hangeul has become the subject of both reading and viewing, and has freely crossed the boundaries of expression between writing and drawing. The imagery of Hangul has become an aesthetic phenomenon that we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aesthetic phenomenon here is not a fragmentary visual aspect, but rather a result that reveals externally the ideas and ideologies of the subject. As an aesthetic phenomenon, we can share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at the imagery of Hangul expresses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in the category of literacy. This is because the sublime is not the aspect or nature of the object, but the emotion that occurs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As a result, the Sublime of imagery of Hangul is an emotional movement and aesthetic experienced through objects that are beyond the tradition and rules of literacy, or objects that appear unexpectedly outside of our perception.

1. 서론
2. 문자성과 문자의 이미지성
3. 숭고의 미학
4. 한글의 이미지성에 대한 숭고미학적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