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2.179
18.117.182.179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추적조사 연구 -M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cking Survey on the Perception of Writing in College Students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연구 67권 365-398(34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1056089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수강 이후 인식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1학기 전라남도 소재의 M대학교에서 진행된 <글쓰기의 기초> 강의를 수강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1차 설문조사는 <글쓰기의 기초> 강의가 진행되던 1학기 초반에 이루어졌고, 2차 설문조사는 8개월 뒤인 2학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 수업 이후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특정한 글쓰기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어 매우 제한적인 글쓰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글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에 대한 긍정 응답의 이유로는 교육 방식, 교육 내용, 담당교수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으며 부정 응답의 이유로는 과제, 학점, 교육 방식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현실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과목을 희망하고 있었다. 글쓰기 강의의 체제에 대해서는 1학점에서 2학점으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수 학기의 확대나 수업시간의 확대는 희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글쓰기 효능감 강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의 설문조사는 글쓰기 효능감과 관련되는 글쓰기 선호도와 글쓰기 용이성, 글쓰기 만족도 등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perception of writing by students who take writing classes at university and the changing pattern of perception change. The study is based on two surveys of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Basics of Writing" at M University in Mokpo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when the "Basics of Writing" lecture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eight months later in the second semester. The first survey confirmed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the second survey confirmed the chang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irst survey. First, we could find that students' basic perceptions of writing tend to expand from a personal level to a social level. Seco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very limited writing, exposed to a limited writ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 Third, students' satisfaction with writing courses was found to be high. Among the reasons for the response to satisfaction were education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professors in charge, whil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were tasks, credits, and education methods. Fourth, students were hoping for writing subjects that could be used directly in real life. As for the writing lecture system, it calls for an expansion to two credits, bu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hope for an expansion of the completion semester or an expansion of class hours. Fifth, the survey confirm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classes had a strong writing efficacy. The two surveys specifically show that writing preferences, ease of writing, and satisfaction with writing, related to the writing efficacy, are rising sharply.

1. 서론
2. 설문조사의 방법과 내용
3.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4.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