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24.40
3.138.124.40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와 중국 스마트시티: 격자망화 관리, 방역관리 플랫폼, 건강정보코드와 사회관리체제
COVID19 and Smart City in China: Grid Management System, Quarantine Management Platform, Health Information Code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박철현 ( Park Chul Hyun )
UCI I410-ECN-0102-2021-000-001056528

본 연구는 중국 사회관리체제가 코로나19 사태에 직면하여 스마트시티 기술을 통해서 구축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사회관리체제는 1950년대 중국 건국 초기부터 구축되기 시작된 것인데, 개혁기 1990년대 후반 이후 국가의 사회관리 능력은 저하되고 격차와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저항은 급증하였다. 스마트시티는 국가의 사회관리능력 감소를 일정하게 해결해줄 테크놀로지로 인식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와 사회관리체제의 결합은 도시사회 기층 ‘사구’에서의 ‘격자망화 관리’를 통해서 실현된다. 코로나19의 발생은 격자망화 관리를 기초한 스마트시티가 ‘질병-위생’을 통해서 재구성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서 등장한 ‘방역관리 플랫폼’과 ‘건강정보코드’의 ‘창신’과 급속한 확산을 배경으로, 우리는 향후 스마트시티 사회관리체제의 ‘질병-위생’ 분야로의 확장과정에서 국가와 자본이 어떻게 공모할 것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China’s social management system being built through smart city technology in the face of COVID19 crisis. The social management system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early 1950s, and since the late 1990s, social resistance to disparity and inequality has soared due to the decline in the state’s social management ability. Smart City is recognized as a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decline in the state’s social management ability. The merge of Smart City and social management is realized through ‘grid management’ at the ‘community’ level of urban society. The outbreak of COVID19 is working as an opportunity for Smart City based on ‘grid management’ to be reconstructed through ‘disease-hygien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reation of a quarantine management platform’ and ‘health information code’ that emerged due to COVID19 inciden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ow the state and capital will conspire in the process of expanding of the smart city social management systems into the "disease-hygiene" field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개혁기 중국 사회관리체제와 스마트시티
Ⅲ. 코로나19의 도전과 사회관리체제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