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8.241
3.133.108.241
close menu
KCI 등재
언어 불안감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성별과 언어능력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Korean Learners: Focusing on Gender and Language Proficiency
고영아 ( Youngah Ko )
인문사회 21 11권 4호 27-39(13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1015534

본 연구는 언어 불안감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습자 성별과 언어 능력과 관련해 조사해보았다.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외국어 불안 척도)를 통해 자료 수집이 진행되었으며, 한국 대학을 다니는 총 40명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험 대상이었다. 학습자들이 척도에 답변한 내용은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되었는데, 성별(남/ 여)과 언어 능력(높음/ 낮음)에 따라 나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은 교수자의 오류 수정을 파악해야 하는 것과 동료들에 의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해 불안감이 더 높게 나왔으며, 여학생은 한국어 수업 중 집중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였다. 또한, 언어 능력이 낮은 그룹의 학생들이 한국어 시험 준비에 대한 부담감과 수업을 잘 따라가야 한다는 불안감이 더 높게 나왔다. 결과에 대한 현실적인 해석과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이 주제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anguage anxiety affect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relation to their gender and language proficiency.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was used to collect data. A total of 40 Korean learners who ar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responses on the scale were compared by different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ased on gender (male/ female) and language proficiency (high/ low) From independent t-tests, it was discovered tha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anxiety about understanding the teacher’s corrections and being negatively evaluated by the peers while females seemed to be less absorbed during Korean class. Also, students at lower levels showed higher anxiety than those at higher levels as they felt more pressure to prepare for the Korean test and were more worried about following their Korean class. Plausible explanations are provided a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more active research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findings as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on this topic.

I. Introduction
II. Relevant studies
III. Methodology
IV. Result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