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14
3.145.191.214
close menu
KCI 등재
부정과 호응하는 부사의 감동사화에 관하여 -「別に」와 「별로」의 대조를 통해 -
On the Development of Interjectional Usage of the Adverb - In Comparision with the Japanese adverb “betsuni” and the Korean adverb “byeollo” -
전자연 ( Jun Jayeon )
일어일문학연구 114권 179-199(21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1009038

본고에서는 일본어 부사 「別に」와 한국어 부사 「별로」의 다의적인 의미용 법을 비교하여 기술하고 부정과 호응하는 부사가 감동사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別に」와 「별로」는 기본적으로 부사 용법과 감동사 용법을 갖는다. 부사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두 부사는 부정술어와 공기(共起)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別に」는 술어의 진술적인 측면에 관여하여 부정을 강조하는 부사로 쓰이는 반면, 「별로」는 술어가 나타내는 정도나 양, 빈도에 관여하여 부분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인다는 점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別に」와 「별로」가 감동사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부정술어와 공기하지 않고 단독으로 청자에 대한 응답을 나타낸다. 이 경우 「別に」는 청자에 대한 가벼운 거절을 표현하는 것으로 화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별로」 역시 단독으로 응답의 감동사로 쓰인다. 그러나 「별로이다」의 형태로 화자의 부정적 평가를 나타내는 형용사 용법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別に」와는 차이가 있다. 「別に」와 「별로」의 감동사 용법을 통해 부정과 호응하는 부사가 감동사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유추해보면, 부정술어와 공기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응답의 발화장면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상대의 발화에 대한 응답으로 부정과 호응하는 부사를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면, 부정술어의 진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던 역할에서 부정을 표현하는 언어형식으로 부사의 의미와 기능이 변화하게 된다. 이는 〈화용적 강화(pragmatic strengthening)〉 에 의한 부사의 의미변화의 한 유형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describes various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Japanese adverb “betsuni” and the Korean adverb “byeollo”, and discusses the process of the semantic change of those from the point of the development of interjectional usage of the adverb. In summary, the semantic change of “betsuni” and “byeollo” can be illustrated as below. Those acquisition of the function as an interjection represent an increase in negative meaning. “Betsuni” used with negative predicate means “particularly”. As a stance adverb, a speaker uses it to emphasize his or her negation. We can also observe the same behavior on “byeollo” used with negative predicate. “Betsuni” is used alone as an interjection in response. In this case, “betsuni” may also carry expressive value as a mild refusal to the addressee. It expresses a negative emotional involvement by speakers as an interjection. “Byeollo” can also be used interjectionally in this sense. However, it can be used as forms like “byeolloida” and stands alone as utterance, meaning “not quite”. As addressed above, “betsuni” and “byeollo” illustrate increased nagative meaning; originating in a clause-internal modifier (i.e. adverbial usage), those come to show the speaker’s emotional involvement as an interjection (i.e. interjectional usage).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考察の対象と方法
4. 「別に」と「별로」の対照分析
5.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