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8.129
3.142.198.129
close menu
KCI 등재
지역 정체성과 지자체 캐릭터 연구 - 김해시 캐릭터를 중심으로 -
Character Study of Local Identity &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Gimhae City Character -
김민석 ( Min-seok Kim ) , 윤기헌 ( Ki-heon Yoon )
한국디자인포럼 68권 109-120(12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1010800

연구배경 오늘날 지자체 캐릭터는 지역의 상징을 넘어 지역산업의 마케팅 수단이 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전국 242개의 지자체에 214개의 캐릭터가 있다고 집계되었지만, 2000년대 초 우후죽순 식으로 만든 캐릭터가 대부분으로 인지도와 활용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지역의 가치를 재창조할 수 있는 지역 캐릭터의 개발을 통해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활용방안과 국내 지자체 캐릭터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관련 선행연구 자료들과 문헌 조사를 통해 지자체 캐릭터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김해시 지자체 캐릭터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현 김해시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캐릭터 시안을 개발하여 김해시 지역민과 공무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지자체 캐릭터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김해시 지자체 캐릭터 개발 모델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김해의 문화적인 배경을 토대로 제작된 간결한 디자인 콘셉트의 시안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독특한 개성보다는 디자인에 대한 친밀감이 높은 캐릭터가 선호되었다. 지역민 모두 지역의 이미지전달을 위해 지자체 캐릭터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터넷과 SNS 및 블로그를 통한 접촉이 가장 많았다. 결론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대표하는 지자체 캐릭터의 개발을 위해서는 캐릭터의 구성요소 중 친밀감과 상징성이 깊이 고려되어야 한다. 새롭게 제작되는 캐릭터의 경우 지역민에게 그 친밀감과 상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캐릭터의 신규 제작에는 주의를 기우릴 필요가 있다. 또한 지자체 캐릭터 제작 시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전달에 가장 중점을 두고 제작이 되어야 하며, 행정적인 차원에서 지자체 캐릭터의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로의 확대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Background These days, local character has gone beyond being a region's symbol to become a marketing tool for the local industry. As of 2017,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ere 214 characters among 242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his is of great contrast to the early 2000s, when there was littl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most of the characters that sprang up sudden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haracter which re-creates local values, we seek ways to promote local culture and set the direction for local character development. Methods We examined the local character of Gimhae City by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of related research materials and litera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Gimhae City's local character and its problems, we drafted a character plan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city. We sought to study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held towards local character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carried out on the local residents, civil servants, and experts in Gimhae City. Result In a survey on Gimhae City's local character development model, most respondents preferred a concise design concept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of Gimhae City. Also, they preferred a friendly and affable character to a unique personality. A high percentage of local residents expressed the need for a local character to promote local identity and regional image, with exposure greatest through the Internet, SNS, and blogs.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a local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local culture and identity, affability and symbolism are attributes that must be given deep thought in the character plan. For newly created characters, character affability and symbolism among the local people might be weaker, which is something to note during the creation of new characters. In addition, when creating local characters, the key emphasis should be on delivering a positive image of the region, whereas at the administrative level, there is a need to consider how to expand local character and content online.

1. 서 론
2. 지자체 캐릭터의 역사와 현황
3. 도시 김해의 정체성
4. 김해 지자체 캐릭터 모델의 개발
5. 캐릭터 설문 및 평가
6.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