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6.174
18.191.236.174
close menu
KCI 등재
개신교회는 탈북민의 사회화에 도움을 주는가?
Does Korean Protestant Churches Help North Korean Refugee's Socialization?
이성우 ( Seongwoo Lee )
신학과 사회 34권 3호 237-261(25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1006548

지난 20 년간(1998~2019), 통일부의 탈북민을 향한 정책은 정착과 지원 중심이었다. 그리고 탈북민 선교를 하는 개신교회와 선교단체 활동의 주안점은 통일부 정책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노력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사회의 많은 사람은 그들을 불편한 존재로 여기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경제적, 문화적 박탈감과 정체성 혼란을 겪는 탈북민들을 돕는 가장 좋은 방법은 교회생활을 통해 그들의 정체성을 세우는 일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먼저 지적한다: 통일부의 정책이 탈북민을 동포로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상은 한국 사회에 동화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또한, 개신교회와 선교단체에서 그들을 교화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탈북민의 종교적 체험을 ‘응답적 경험’으로 소개하면서, 종교의 조정적 기능과 적응적 기능이 거래적 신앙에서 헌신적 신앙으로 넘어가는 사례를 통해 ‘의미 있는 타자’의 역할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그들이 경험하게 되는 종교적 사회화의 다섯 가지를 제안한다. 교회 출석, 종교의 인성개발, 인간관계의 상호작용, 개신교회와 선교단체의 협업, 교회의 사회적 기능. 본 논문은 탈북민을 교화와 배제의 대상이 아닌 하나님 앞에서 동등한 인간인 이웃사랑의 대상으로 정의하지 않는다면, 탈북민의 선교가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교회의 종교적 사회화는 그들의 정체성을 세우는 과제임을 제안한다.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been supporting and settl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for the past 20 years (1998~2019). Protestant churches and missionary organizations that do missionary work for them are trying to fill the deficient part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policy. In the process, most Korean people regard them as the uncomfortable who are living on an unfamiliar environment in South Korea. It is the best way to establish their new identity that overcomes the sufferings of economic, cultural deprivations and identity conflict through church life. This paper considers the policy as a subject to assimilate into the Korean society, even though the policy defines them as compatriots. And it points out that Protestant churches and missionary organizations are targeting them for an indoctrination. Introducing their religious experience as a “responsive experience,” it presents the role of the “meaningful others” to sublimating an example of shifting from a trading faith to a devoted faith through the adjustive and adaptive functions of relig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five elements of religious socialization for them: church attendance, development of religious personality, interaction of human relations, collaboration between Protestant churches and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finally the social function of the church. This paper finally suggests the religious socialization of church is a task of establishing the refugee’s new identity. In the sense, the missionary policy of Protestant churches and missionary organizations for the refugee must bear in mind the object of love, not an indoctrination and exclusion, since they are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us(Korean People) in the presence of God.

Ⅰ. 들어가는 말
Ⅱ. 탈북민 사회화를 향한 이론적 전개
Ⅲ. 「통일백서」에 드러난 탈북민을 향한 정책
Ⅳ. 탈북민의 종교적 경험
Ⅴ. 탈북민을 향한 교회의 사회화를 위한 제언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