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214
3.15.202.214
close menu
KCI 등재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 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Internet Use and Digital Divide of Farmers and Fishers
김승환 ( Kim Seung-hwan ) , 성욱준 ( Sung Wook-joon )
정보화정책 27권 3호 19-38(20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36949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디지털 격차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농어민의 기술에 대한 태도, 물리적 접근성, 활용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농어민 간 인구·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파악하였고, 특히 겸업·전업 농어민 간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서의 격차와 그 원인을 분석했다.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태도, 물리적 접근성, 콘텐츠 관련 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연령과 거주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 격차가 발생했다. 겸업·전업 농어민 간에도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신기술의 대한 태도로 인해서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어민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서 농어민 정보화 교육, 낙후 농어촌 지원, 전업 농어민을 위한 기술 지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gital divide that appears in the mobile Internet use by farmers and fishers.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impact of farmers and fisher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material access, and skills o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digital divide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ocioeconomic factors among farmers and fishers, and the divide and the cause of the mobile Internet use among both part- and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 2018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 attitudes, material access, and content-related skil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Also,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in different age groups and residential region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between part- and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and this divide was caused by attitudes toward new technolog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for education on informatization for farmers and fishers, support for underdeveloped rural communities, and technical support for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in order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