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90.144
3.15.190.144
close menu
KCI 등재
‘태도’ 범주 교육 활동의 조작적 설정
Operational setting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Attitude’ category
이원영 ( Lee Won-young )
어문론총 85권 303-327(25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1359222

본고는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 교육을 위한 내용 범주로서 ‘태도’의 교육 실천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태도’ 범주 교육의 실천을 위한 방안으로 ‘태도 범주 교육 활동의 조작적 설정’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어과 교육의 난제인 ‘태도’ 범주 교육 실천의 문제에 대한 시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 교육을 위한 내용 범주로서 ‘태도’가 구체화된 교육 내용이나 교육 실천의 지침들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식이 있다. 이에 ‘태도’가 내용 범주로서의 위상에 맞는 실제적 교육 내용을 구축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태도’ 범주 교육을 위한 활동을 조작적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국어과 교육에서의 ‘태도’ 범주의 위상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는 ‘태도’ 범주 교육의 실천 국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방안들의 한계를 살폈다. 마지막으로는 ‘태도’ 범주 교육의 실천의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태도’ 범주 활동을 조작적으로 설정하여 교육 실천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Attitude’ as a content category for affectiv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posed a ‘operational setting of education activities in the Attitude category’ as a plan to practice ‘Attitude’ category education.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practicing education in the ‘Attitude’ category, which is a difficult probl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properl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or guidelines for educational practice in which ‘Attitude’ is specified as a content category of affectiv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ng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 that fits the status of ‘Attitude’ as a content category, countermeasure of operationally setting activities for ‘Attitude’ category education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is countermeasure were reviewed. To this end,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work. First, we examined the status of the ‘Attitude’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the problems arising in the practice situation of ‘Attitude’ category education, countermeasures, and limitations of countermeasures were examined. Finally, as a countermeasure to the problem of practicing education in the ‘Attitude’ category, it was suggested that the ‘Attitude’ category activity be operationally set and used in education practice, and its validity was reviewed.

1. 서론
2. 국어과 교육의 내용 범주로서 ‘태도’의 위상과 모순
3. ‘태도’ 범주 교육 실천의 문제와 대응
4. ‘태도’ 범주 교육을 위한 활동의 조작적 설정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