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69.143
3.16.69.143
close menu
KCI 등재
MZ세대의 틱톡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챌린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TikTok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hallenge by MZ Generation
최모세 ( Choi Mo Se ) , 김상진 ( Kim Sang Jing )
UCI I410-ECN-0102-2021-600-001348054

디지털과 IT기술의 발달로 최근 미디어 환경에서 SNS 숏폼(short form) 동영상 플랫폼이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숏폼 동영상 플랫폼의 선두주자 틱톡(Tiktok)의 이용 동기가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이용동기와 만족도 간, 틱톡의 인기를 이끄는 챌린지 캠페인 참여 의도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틱톡의 이용동기는 ‘자기표현’, ‘상호작용’, ‘단시성’, ‘시간보내기’, ‘즐거움’으로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틱톡의 이용 동기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틱톡 이용 동기 중 자기표현을 제외하고 4개 요인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챌린지 참여의도는 시간보내기와 즐거움을 제외하고 3개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틱톡 연구들이 중국인 사용자 대상의 이용 동기 분석이 대부분이라는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는 국내 MZ세대의 틱톡 이용 이용동기를 확인했다는 점과 틱톡 챌린지 캠페인을 고려한 변인을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틱톡의 초기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 information technologies, SNS short form video platforms are growing rapidly in the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make up the usage motivation of Tiktok, the leader of the shortform video platform, and see how it affects between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hallenge campaign that leads to Tiktok's popular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ikTok usage motivation was derived from five factors: 'self-expression', 'interaction', 'simplicity', 'spending time' and 'pleasure'. As a result of checking the effects of TikTok's usage motivation, it was confirmed that four factors, excluding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at thre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hallenge campaign except for time-spending and enjoyment. There was a limit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existing TikTok studies were analyzing the usage motivation of Chinese user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motivation of the domestic MZ generation to use TikTok and the variables considering the TikTok challenge campaign for the first tim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initial research of TikTok,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