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8.21
3.128.198.21
close menu
KCI 등재
日本語の母音融合の類型論 - 京都府丹後地域の方言から得られる類型-
Typology of Vowel Coalescence in Japanese : The Typology From The Analysis of Tango Japanese
손범기 ( Son¸ Bum-ki )
일어일문학연구 115권 129-151(23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1253963

본고는 최적성이론을 바탕으로 일본어 방언에 나타나는 모음융합의 유형론적 특징을 형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토부 단고 지역의 방언은 /ai, ae/와 /ia, ea/가 [ja:]로 융합을 한다. 이러한 단고 방언의 모음융합은 표면적으로 두 모음의 순서와 상관없이 동일한 모음으로 융합을 한다는 점에서 오키나와 슈리 방언의 대칭적 융합(/ai, ae/, /ia, ea/ → [e:])과 유사성을 지닌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이 방언의 과거의 융합모음이 [æ:]였고 변이형이 존재했었다는 점을 근거로 ‘/ai, ae/ → [ja:]’ 융합은 ‘/ai, ae/ > [æ:] > [ja:]’과 같은 과정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융합모음 [ja:]는 전설저모음을 금지하는 제약을 회피하기 위한 모음의 자질이 분할된 결과이고, /ia, ea/ → [ja:]의 융합과는 별개의 과정인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단고 방언의 모음융합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방언의 융합모음의 유형을 점진적 제약의 계승유형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융합모음의 분할은 분절음과 자질간의 연결과 관련한 충실성제약의 위반으로 설명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ology of vowel coalescences in the Japanese dialects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In the dialect of the Tango region of Kyoto prefecture, /ai, ae/ and /ia, ea/ are coalesced to [ja:]. Coalescence patterns in Tango Japanese show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Shuri Japanese in Okinawa (e.g., /ai, ae/, /ia, ea/ → [e:]), in the sense that the coalescence from the two vowels show the same pattern regardless of the order relation (i.e., symmetric coalescence, Casali 1996). The author, however, discussed that the process of /ai, ae/ to [ja:] was formed through a process ‘/ai, ae/ > [æ:] > [ja:]’ by several indications. The fact that [æ:] alternates to [ja:] is the result of the split of [æ:] by a constraint that prohibits front low vowel. Thus, it can be said that ‘/ai, ae/ → [ja:]’ is a separate processes from ‘/ia, ea/ → [ja:]’. Starting with the analysis of vowel coalescence in Tango Japanese, I this study analyzed the coalescence types of various dialects based on factorial typology, with gradient constraint and split of coalesced vowel with consistency for line association.

1. はじめに
2. 丹後方言の母音融合
3. 理論的分析
4.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