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32.230
18.223.32.230
close menu
KCI 등재
4월혁명과 근대화 담론의 변화 -근대화의 주체와 방법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The April Revolution and Changes in Modernization Discourses
홍정완 ( Hong¸ Jeong Wan )
인문과학 79권 105-148(44pages)
DOI 10.31310/HUM.079.04
UCI I410-ECN-0102-2021-000-001230164

1950년대 후반 제3세계 군부세력의 집권이나 집권세력의 독재적, 권위주의적 경향 등을 불가피한 것으로 정당화하는 혹은 민족혁명의 일환으로 우호적 관점에서 다룬 글을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 지식인층은 ‘후진성’ 극복을 위해 정부의 효과적인 계획과 정책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공감했지만, 그것은 민주적인 정부에 의한 것이어야 했다. 4월혁명 이후 대학생층에게 확산되었던 민족주의적인 정서에는 엘리트적 계몽의식과 근대사회로의 개혁에 대한 열망, 그리고 그를 토대로 한 민주주의의 육성이라는 관점이 공유되고 있었다. 민족주의적 관점과 태도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치경제적 질서의 급격한 변혁을 열망하는 일부 대학생층에서는 ‘자유민주주의’를 미국이 약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방편으로 치부하거나 급속한 ‘경제 발전’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기존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정치·경제 체제에 대한비판 속에서 ‘후진성’의 탈피, 산업화를 향한 ‘발전체제’의 수립을 주장하였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Korean intellectuals did not produce writings that justified or supported the rise of military governments and their authoritarian tendencies as inevitable or that dealt with them favorably as part of a national revolution in the late 1950s. Korean intellectuals shared a common view that powerful government-led policies and plans were necessary to overcome backwardness in Korean society, but they believed that these plans and policies should be carried out by a democratic government. Nationalist sentiments shared among the college students after the April 19th Revolution included the notion of elitist enlightenment, zeal for reforms to modernize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However, few Korean intellectuals recognized the power of the masses even after the Revolution. It appeared that some college students shared the observation that ‘democracy’ would not fit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s nationalism expanded across the nation in the early 1960s. They thought that democracy would be the ideological tool of the United States aiming at exerting influence on such weak countries as South Korea, or that democracy itself would be an obstacle for rapid economic development. While criticizing the established dominant ideology and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ey insisted on overcoming ‘backwardness’ and establishing a ‘developmental regime’ for industrialization.

Ⅰ. 서 론
Ⅱ. 1950년대 한국사회의 근대화 담론과 주체― 부르주아계급과 국가, 그리고 지식인계층
Ⅲ. 4월혁명과 근대화 주체 담론의 변화
Ⅳ. 결 론: 혁명과 근대화, 그리고 쿠데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