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94.152
18.216.94.152
close menu
KCI 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Standard of Media Edu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장은주 ( Jang¸ Eunju )
새국어교육 125권 39-68(30pages)
UCI I410-ECN-0102-2022-700-00026549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교육 내용을 학교 교육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학년군 및 교과별 성취기준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대응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국어, 사회/도덕, 기술·가정/정보, 예술 교과에 미디어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으며, 각 교과 특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연관성도 드러났다. 그러나 일부 내용은 중복되거나 배제되어 있어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에 따른 교육 내용의 체계화와 위계화가 필요하다. 결론: 교육과정 총론에 디지털 미디어 관련 역량을 반영하고, 각론에서 미디어에 대한 지식, 디지털 환경에서의 성찰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참여 등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보강되어야 한다. 성취기준 외에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차원의 반영도 필요하다. 특히 국어과는 저학년에서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반영하고, 국어과 선택과목은 미디어유형을 포함한 미디어에 대한 지식을 전문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flect the contents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school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standards related to media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grade group and subject were examined in response to the elements of media literacy. Result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media education are reflected in Korean, social/morality, technology, home/information, and art subjec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media literacy components was also revealed. However, some educational contents are duplicated or excluded, so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and hierarchy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media literacy components. Conclusion: The contents related to media literacy in digital environment should be reinforced, such as reflecting digital media-related capabilities in the general discussion, knowledge of media in the general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reflective responsibili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dimensions are also needed. Especiall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hould reflect the contents related to media literacy from the lower grades, and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election course should deal with the knowledge of media including media type professionally.

1. 들어가는 말
2. 소통 환경의 변화와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3.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내용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