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6.169
3.145.206.169
close menu
KCI 등재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Introduction of IB Diploma Theory of Knowledge and Examination of Knowledge Question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
김진실 ( Kim¸ Jinsil )
새국어교육 125권 163-194(32pages)
UCI I410-ECN-0102-2022-700-00026553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목적: IB 교육과정의 고유 교과인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이해를 통해 IB 지식론과 국어 교과에서 다루는 지식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방법: IB 지식론 과목 가이드와 지식론 평가 관련 자료, 그리고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knowledge questions)을 검토한다. 결과: 지식론에서는 지식을 하나의 주장으로 표현하며 개방적이고 일반적인 지식 질문을 통해 지식의 속성과 지식이 구축되는 과정, 지식의 의의 등에 대한 폭넓은 성찰을 꾀한다. 지식론은 지식 구축의 방법을 반성함으로써 패러다임을 바꾸는 창의적 사고를 훈련시키고, 교과 통합적인 평가 문항을 통해 지식의 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며, 교실 속 지식을 현실로 연결시켜 지식의 궁극적 목적을 스스로 탐색하게 한다. 평가의 측면에서는 분석적 평가가 아닌, 지식론의 본질에 부합한 총체적 인상 평가를 활용한다. 결론: 국어 교과는 지식 자체를 전달하는 여느 교과와 달리 의사소통과 지식을 탐구하는 경로로서의 언어를 다룬다는 측면에서 지식론과 연결된다.

Purpose: To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IB ‘Theory of knowledge’ and knowledge covered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e understand Review IB Knowledge Theory subject guides, knowledge assessment materials, and knowledge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ing of ToK, which is a unique subject of the IB Diploma programme. Methods: Review IB ToK subject guides, its assessment system and materials, and knowledge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Results: Tok expresses knowledge as a single argument, and seeks a broad reflection on the process of building knowledge properties and the significance of knowledge through open and general knowledge questions. By reflecting on how to build knowledge, it trains students’ creative thinking that changes the paradigm, enables integrated thinking of knowledge through integrated assessment questions, and links knowledge in the classroom to the reality to explore the ultimate purpose of knowledge on its own. In terms of evaluation, Tok utilizes the overall impression assessment that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ok, not the analytical assessment. Conclusion: Korean language subject, unlike any other subject that conveys knowledge itself, is linked to the Theory of knowledge in terms of dealing with language 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and exploration of knowledge.

1. 서론
2. IB 교육 과정과 필수 교과의 구성
3. 지식론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
4. 국어 교과와 지식 질문(knowledge questions)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