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43.4
18.119.143.4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최홍일 ( Choi Hong-il ) , 이래혁 ( Lee Raehyuck )
학교사회복지 52권 1-27(27pages)
DOI 10.20993/jSSW.52.1
UCI I410-ECN-0102-2022-000-000256166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거나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고 이어서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efforts in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ve been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influ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data analyses b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influenced significantly negatively life satisfa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lso, levels of social stigma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double-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then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