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11.48
18.223.111.48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현황
School social workers’ tasks in the midst of covid-19
이태인 ( Tae Lee ) , 박경현 ( Kyunghyun Park ) , 최세나 ( Sena Choi )
학교사회복지 52권 73-97(25pages)
DOI 10.20993/jSSW.52.4
UCI I410-ECN-0102-2022-000-000256191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상황은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아동ㆍ청소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내에서 학생복지 증진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 역시 그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본 연구는 학교 내 사회복지사들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이 발견하고 포착한 학생복지 관련 상황, 이들의 직무 수행 관련 경험 및 요구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위기개입 사례 분석, 그리고 전국 학교사회복지유관사업 현장의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N=462)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반적 직무는 큰 폭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사회복지사는 현장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는데, 특히 물품지원 업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들은 학교에서 학생들을 직접 대면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전화, SNS, 가정방문을 활용하면서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사가 관리하는 사례들 속에서 학생들의 전자기기 사용을 비롯한 생활습관 관련 문제와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학습 관련 문제, 혼자 있는 아이들과 같은 문제가 증가하거나 심각해졌고, 학대나 가정폭력 발생과 같은 위기사례도 늘어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인구학적 특성집단별로 서비스전달 방법, 구체적 직무, 그리고 사례내 문제들의 변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응답자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직무수행상 가장 큰 어려움으로 비대면 실천사례와 아이디어가 부족한 것, 사업계획을 계속 변경해야 하는 상황, 학생을 대면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답답함을 꼽았다. 현재 직무수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새로운 기술과 정보습득, 학생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 구체적인 지침과 연수라고 응답하였다. 연구진은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몇 가지 함의 및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조사방법 상의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학교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서는 응답자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높은 대표성을 띤다는 점에서 그 유의성을 강조하고 싶다.

As schools and children around the world are hard hit by the waves of covid-19, school social workers are at the frontline helping these children cope with new needs and problem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scope of changes in the roles and tasks of Korean school social workers during the pandemic an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they have been facing. To do so, we analyzed 36 covid-19 relevant cases managed by school social workers and conducted an online-survey (N=462). Via the analyses of the survey data, we first found that the tasks of school social workers have been modified to a large extent. They have been involved in implementing the safety and precaution measures when students are on campus and in disseminating survival kits or covid-19 care packages for families. Second, the methods of service delivery have changed as school social workers increasingly utilize phone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home visits. Third, the survey participants reported that students and families experience new problems such as unhealthy life styles, difficulties adjusting to online learning, and insufficient adult supervision during the day as well as an increase in child abuse and domestic viol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various sociodemographic groups with regard to their responses for how their service delivery methods and specific tasks have changed and what their assessment of issues faced by students and families have been. Lastly, the participants voiced their thoughts on what is most challenging and needed at this unprecedented time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문헌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