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2.140
3.144.252.140
close menu
KCI 등재
Covid 19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 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Expectations for School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Cooperation in Covid 19 Situations: A Focus on Child Worker Perceptions
김선숙 ( Kim Sunsuk ) , 김진숙 ( Kim Jin Sook )
학교사회복지 52권 203-229(27pages)
DOI 10.20993/jSSW.52.9
UCI I410-ECN-0102-2022-000-000256242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의 확산과 그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은 아동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교제한으로 인한 돌봄의 공백, 학업격차, 학대와 안전문제 등 전통적인 교육취약학생이 아닌 아동에게 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아동들의 상황에 대한 대응은 가족,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연계 협력의 욕구, 기대, 협업을 위해 필요한 활동 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학교외 지역사회기관의 아동복지종사자 27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어려움은 ‘방임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학습격차’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자신의 어려움은 ‘아동의 감염위험에 대한 걱정’, ‘아동안전에 대한 비대면 모니터링의 어려움’ 순서로 대답하였다. 학교와 연계 필요성은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연계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도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역내 학교에 사회복지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과 ‘연계할 프로그램이나 사업이 없기’ 때문이었고, ‘정보 공유’와 ‘위기아동 모니터링과 사례연계 역할 수행’ 방식의 연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가 발굴하거나 개입하길 기대하는 아동의 문제는 학교부적응, 학대피해, 학습부진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것은 ‘기관과 학교의 가교역할’과 ‘대상아동의 발굴 및 의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중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로나19 상황의 다양한 직무에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기대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협력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pread of Corona19 infection and social distancing, which began in early 2020, are having a big impact on children’s lives. The longer time left at home due to school restrictions, academic gaps, abuse and safety issuesare affecting not only education-vulnerable students,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the COVID19 Pandemic, coope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is more emphasized on the protection and growth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ould connect with, the community’s desire, expectation, and necessary activities for cooperation. The responses of 274 child welfare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due to COVID-19 that workers think are ‘longer neglect time’ and ‘learning gaps’, and the difficulties of workers are ‘worries about children’s risk of infection’, ‘difficulty in monitoring of child safety without face-to-fac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to connect with the school, but about half said they had no experience of actually connecting. The reason was that “no social workers were assigned to schools in the region” and “there were no programs or projects associate with”. The most cooperated are ‘information sharing’ and ‘monitoring and referral for children at risk’. Children’s problems that the school social worker should intervene were responded in the order of school maladjustment, abuse, and poor learning.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ridge between community institutions and schools” and “discovery and referral of children at risk’ are important roles for school social workers in COVID 19 Pandemic. The more experienced respondents had related to school social workers, the more respondents said that the need for connection with school social workers for various occupation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the higher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was discussed.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