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92.53
3.23.92.53
close menu
KCI 등재
자율항공 양하역기기 드론 도입에 따른 법률관계의 변화
The changes of legal relations by inception of the autopilot drone for loading and unloading
최병열 ( Byungryul Choi )
법학논총 44권 4호 373-401(29pages)
UCI I410-ECN-0102-2022-300-000216794

2016년, 세계 우수해운사인 머스크는 드론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실험을 하였다. 빠른 무인항공기기술과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으로 자율운항 드론 양하역기기의 상용화가 기대된다. 자율운항 드론양하역의 법적쟁점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의 법률 관계에서는 (1) 하역업자의 법적지위와 이에 따른 항해과실책임제한의 적용여부를 고찰하고, (2) 운송물인도청구권과 관련하여 운송물청구권의 목적지의 변경, 운송물청구권의 종료시점, 이전가능여부, 담보성 보완 및 수하인의 운송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이전여부를 고찰한다. 드론양하역구간이 항공운송구간이 되는지 해상운송구간이 되는지는 드론양하역업자의 법적지위의 영향을 받는다. 드론양하역업자가 운송인의 항해과실 책임제도를 향유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고려할 때, 대한민국에서는 드론양하역업자가 히말라야 약관에 명시되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며, 이에 인공지능의 기술로 인지, 판단, 제어를 수행할 경우에도 약관상 명시된 사람에 해당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 드론에서 화물 낙하등의 사고가 발생할 때, 이를 출항전 감항능력 부족으로 보게 되는 사건으로 보는가의 여부는 감항능력주의의무의 충족 여부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항해과실책임제도 향유의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선하증권이 발급되었을 경우, 운송물의 불법인도 및 훼손, 멸실에 대해, 수하인은 드론양하역업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드론양하역업자의 법적지위에 따라 운송인 또한 연대책임을 진다. 해상화물운송장이 발급될 경우에는 수하인이 운송물청구권을 보유하지 않은 시점에서 화물의 멸실이 발생할 경우 하역업자에 대해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학설이 나뉜다.

In 2016, Maersk, the world’s leading shipping company, conducted an experiment to transport cargo by drone.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autopilot loading and unloading drone will have its inceptio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legal issues of autopilot loading and unloading drone, current legal relations are to be reviewed in light of (1) the legal status of the unloading operator and the application of the package limitation, as well as (2) the change of destination, termination of right, transferability of right, enhancement of security pertaining to the right to claim the cargo, and the transferability of right to claim damages from shipper to consignee. The legal status of the drone carrier affects whether the drone unloading shall be classified to either air transport or shipping. In light of considering whether a drone operator can enjoy the package limitation, it is important in South Korea whether there is an explicit description for such purpose about the drone operator, as well as whether the description includes the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pplied for the cognition, judgment and control function of the drone. Moreover, whether a fall of a cargo can be considered as a failure of the duty to exercise the due diligence on seaworthiness before the departure may affect the enjoyment of package limitation. The consignee with bill of landing can have the right to claim damages by illegal delivery, damage, and loss of the shipment. According to the legal status of the drone operator, the shipper is also responsible for joint action. If a sea waybill is issued, there is a division of theory that the unloading operator can be held liable for illegal activities if the cargo is lost when the consignee does not have the right to claim the cargo.

Ⅰ. 서론
Ⅱ. 기존의 법률관계
Ⅲ. 자율항공 양하역기기 드론 도입으로 인한 변화
Ⅳ. 자율항공 양하역기기 드론을 활용한 법률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