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이 글은 일제강점기 북한지역의 출판문화, 이와 관련된 제반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남한지역의 출판문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연구가 많았지만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북한지역의 출판문화 전반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획정한 북한의 행정구역을 토대로, 조선총독부, 각 도(道)의 주요 도시(都市)인 11개의 부(府)에서 간행한 부세일반(府勢一般), 지역안내서(地域案內書), 상공인명부(商工人名簿) 등을 검토하여 이 문제를 접근해 보았다. 이 자료들은 조선총독부와 지역의 관공서, 상공회의소 주관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지역의 산업 실태 및 현황을 언급하면서, 지역 내에 존재하는 인쇄업, 출판업, 서적상을 다루고 있다. 이 자료들을 보면 지역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출판사의 상호(商號), 소재지, 대표자명, 신분(내지인/외지인), 자본금까지 상세히 기술했고, 해당 업소의 모습을 사진으로 게재하기도 했다. 이 자료를 보면 북한전역에서 출판문화가 활발했고, 각 업소는 상당한 자본금을 갖고 운영했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설은 대부분 조선인들이 거주하는 구(舊)시가지, 유동인구가 많은 시장 입구와 번화가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된다. 이 글은 이러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1차적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차후 보완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군(郡) 이하에서 간행한 부세(府勢)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거하여 각 지역의 통합적인 출판물 목록 작성, 1937년 펄프(pulp)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생긴 출판업소의 폐업 상황, 이를 종합한 북한지역의 지역별출판 동향과 통계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북한지역의 출판문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을 검토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지역의 연구로만 끝나지 않는다. 우리나라 출판사(出版史)와 문학사(文學史)의 외연을 넓힐 수 있고, 무엇보다 전근대에서 근대에 이르기는 시기까지 다채로웠던 우리나라의 출판 및 독서 문화의 실상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