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본 연구는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전문성 발달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숙련전문가는 기존의 집단상담 발달 연구에서 탐색되지 못한 대학원 석·박사 과정 이후부터 집단상담 대가 이전의 단계에 해당하는 전문가들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인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는 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선정 기준은 첫째, 집단상담 실무경험이 10년 이상, 둘째, 현재에도 집단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셋째, 집단상담학회 수련감독 전문상담사이거나 집단상담 수퍼비전을 진행하는 상담자, 넷째, 상담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지 5년이상인 상담자였다. 이에 부합하는 상담자를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로 명명하고 최종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일관된 면담을 위해 면담흐름표를 작성한 후 2차에 걸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 방식(Strauss & Co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53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나타난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의 중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집단상담의 선택, 집단상담을 전문성 유지를 위한 중요한 방식으로 인식, 더 깊은 전문성으로 전환, 초기 요구와 지속적인 전문성 고양의 요구,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에 영향을 미친중대 사건/ 사람, 집단상담자로서 느끼는 좌절과 대처 방법, 개인적 삶의 기여, 전문성을 유지, 성숙 시키는 방법, 융통성 있는 이론과 기법의 적용, 전문가로의 변화, 전문적 특성, 집단상담 성과에 대한 평가 근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