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버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구매논문
장바구니
고객센터
주제별인기논문
이슈논문
맞춤논문
최근 본 논문
0
마이페이지
결과 내 재검색
|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
|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정부학연구
>
24권 1호
정부학연구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 주제 : 사회과학분야 > 행정학
- 성격 : 학술지
- 간기: 연3회
- 국내 등재 : KCI 등재
- 해외 등재 : -
- ISSN : 1229-4241
- 간행물명 변경 사항 :
알림서비스 신청
RSS
수록 범위 :
24권 1호 (2018)
전체 수록 범위 보기
전체선택
바로구매
장바구니
보관함
인용하기
EndNote
Refworks
Scholar’s Aid
Excel
TXT
정렬
10개
1.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공론화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공론조사의 국가적 특수성, 대표성과 집합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김정인 ( Jungin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정부학연구
24권 1호
, 2018 pp. 343-375 ( 총 33 pages)
키워드보기
초록보기
PDF 미리보기
7,300
원
바로구매
장바구니
키워드보기
공론화
대표성
집합적 합리성
Collective Rationality
Deliberative Democracy
Representatives
닫기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공론화와 정책결정의 관계, 공론화가 정책결정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효과적인 공론화를 위한 조건 등을 이론적·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공론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결과 국가적 특수성, 대표성과 공론화 참여자들 간 집합적 합리성이 효과적인 공론화의 조건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스탠포드 대학의 숙의민주주의 센터(Center for Deliberative Democracy)에서 제공하는 해외 공론조사 사례 47건을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각 국가들의 정치제도, 행정문화, 정책결정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공론화 적용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도시개발·교통·공동체 등 지역 생활형 정책이슈들과 같이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으며, 참여자들의 정치적 평등이 확보되고, 정책이슈의 포괄성 등이 높을 때 공론화 적용 가능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 대상이 된 정책이슈의 대안선택 폭, 대안선택의 기준/방법, 최적대안의 선택유무 역시 공론화 적용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조건들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에서 효과적인 공론화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닫기
<<
1
2
이 간행물 내에서 논문 검색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