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취락을 소재로 한 358수의 시조 작품을 검토대상으로 삼았다. 술을 마시는 이유, 술 마시는 상황, 마시는 사람에게 술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등을 기준으로 취락시조를 세 부류로 분류하고 작품을 분석했다. 첫째, 술 마시는 것 자체를 좋아하여 즐기는 대상으로서의 술을 노래한 70여 수의 작품이 있었다. 이 부류의 시조들은 술을 좋아하여 자주, 많이 마시고 심지어는 죽어서도 술과 가까이하고 싶다고 한다. 지나친 음주의 폐단을 경계하는 시조와 권주(勸酒)시조도 있다. 둘째, 풍류적인 삶에 흥취를 돋우기 위해 술을 즐기는 190여 수의 시조가 있었다. 이들은 전원에서의 생활과 관련된 취흥(醉興), 친구를 만나서 즐기는 도도한 취흥, 그리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아름다운 경치를 완상하면서 즐기는 취흥을 노래했다. 그리고 주색(酒色)풍류에 관련된 시조도 있었다. 셋째, 삶의 위안물로서의 술을 노래한 시조들로 100여 수가 있었다. 인생이 무상하다는 생각에서 오는 허무감을 극복하기 위해 술을 마시기도 하고, 이러저러한 삶의 시름을 잊기 위해 술을 마시기도 했다. 또 세상과 불화하여 느끼는 세상에 대한 소외나 좌절, 혐오의 감정을 위로하고자 술을 마시는 모습도 있었다.
초록(외국어)
The subjects of this writing are 358 pieces of Sijo which are about drinking. These piec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asons why people drink, drinking circumstances, and how drinking affects a person. Firstly, there are around 70 pieces about drinking as a way of having fun. This kind of Sijo shows the love of drinking, and some even show the desire of drinki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some Sijo warning the evil of drinking, and Sijo offering a drink. Secondly, there are about 190 pieces of Sijo about enjoying drinking to heighten the excitement of poetical life. These pieces show the enjoyment of drinking with friends, admiring the scenery in changes of seasons, and conviviality in rural life. There are some pieces about boozing and womanizing. Thirdly, there are around 100 pieces that are about drinking as a comfort for life. People drink to overcome the thought that life is but an empty dream, of to forget their cares in life. Some drink to comfort themselves for self-hatred, frustration, and isolation from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