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환경 조음음운장애 아동들과 기능적 조음장애집단 및 정상집단 아동들의 음운변동 패턴을 비교하고,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보이는 음운변동의 패턴과 발달적 및 비 발달적 음운 패턴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 집단 모두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 동작성 지능 75이상의 아동들이며 동일한 지역 내 거주하고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필리핀과 일본다문화가정 아동들이다. 아동들의 평균연령은 60에서 63개월까지이며 이들 중 조음장애집단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우리말 조음음운 선별검사에서 표준편차 -1이하를 보이는 아동들이다. 연구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동은 주로 초성생략, 종성생략, 첨가, 폐쇄음 생략, 유음생략, 치조음화,폐쇄음화, 파찰음화 등이었다. 발달적 음운패턴과 비발달적 음운패턴 분석에서는 다문화 집단과 기능적 조음장애 집단이 발달적 음운변동 출현율이 유사하였으며, 비발달적 음운 변동패턴에서 기능적 조음장애 집단이 보다 높은 비발달적 음운 패턴율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 of phonological processes o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e familie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thirty children aged 60 months to 70 months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multiculture environment group such as the Philippines and Japan, a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group, and a normal one. To examin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words and sentences) was used.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phonological process table(percentil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e phonological process of omissions in the initial and final position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