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서울 소재의 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개설된 중급중국어 전공 수업을 수강하는 한국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중 발생한 구어 오류를 수집하여 코퍼스를 구축한 후, 이를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周小兵·朱其智·鄧小寧(2007)에 근거하여, 본고가 수집한 구어 오류 문장들을, 누락(遺漏),대체(誤代), 어순오류(錯序), 첨가(誤加), 혼합(雜糅)의 5가지 대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누락, 대체, 어순오류의 빈도수가 우위를 점하였고, 첨가와 혼합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관찰하였다. 각 대유형은 다시 전통적 문법 범주에 따라 품사, 문장성분 및 개별특수문형의 소유형으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사누락, 명사대체, 시동량사구 및 시간명사 어순오류, 동사첨가 등의 소유형들이 각 대유형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을 관찰하였다. 본고는 周小兵·朱其智·鄧小寧(2007)이 오류 발생 원인으로 제시한 모어의 부정전이, 목표어의 규범화, 교학상의 오도, 교류 책략의 운용이라는 네 가지 유형에 의거하여, 각 오류별 특징 및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작문 오류에 대한 유관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본고의 구어 코퍼스를 비교 및 대조하여, 구어오류에 반영된 통사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어 오류의 발생을 낮추고 중급중국어 대학 강의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건의사항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기존의 작문 오류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행연구가 미비한 구어 오류의 코퍼스를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작문 오류와의 비교·대조를 통해 그 통사적 특징을 관찰하여, 구어 오류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