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순경(1983), 한국어 단순모음의 음향학적 분석, 弘大論叢, 제15집, 69-94쪽, 弘益大學校.
2. 강옥미(2001),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3. 곽경수(1988), 한국어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및 포먼트 분포 상황에서본 한국어 모음과 영어 모음의 비교, 언어 9, 93-98쪽, 충남대학교 어학연구소.
4. 한국어 기본 모음의 음향학적 분석
5. 권성미(2007),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권성미(2009),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모음 중심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박이정.
7. 김은경(2010), 중국인 남성 화자의 한국어 단모음 [어]와 [오]의 발음 오류분석, 한글, 제289호, 288-289쪽, 한글학회.
8. 김은경(2013),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음향 공간 비교, 한국어교육, 24권 2호, 81-96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김지영(2018), 중국인과 베트남인의 한국어 단순모음 습득 연구, 군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10. A Study of Korean Pronunciation Errors and Guidance for Chinese Students
11. 노금송(2000),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숙희(2013), 한국어 발음 교육론, 25쪽, 역락.
13. 배주채(1996),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14. 백승석(2018), 중국어 운모의 발음 학습과 교육 방안, 중국어문학, 제77집, 185-214쪽, 영남중국어문학회.
15. 백운일(2000), 한국어 모음에 관한 팰라토그래픽 인상, 인문논총 30, 159-167쪽,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6. 성철재(2004),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F1/F2 모음공간에서의음향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음향학회지, 23(6), 454-461쪽, 한국음향학회.
17. 신지영·차재은(2003),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18. 신지영(2011), 한국어의 말소리, 156-167쪽, 지식과 교양.
19. 안정은(2009), 한국어 지역방언 사용자의 영어 모음 교육을 위한 한·영 모음비교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오성애(2003),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학술대회논문집, 2003권 0호, 561-567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오초롱(201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의 단모음 및 공간면적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얜후이 린(2007)/엄익상 외(역)(2010), 중국어 말소리, 120쪽, 역락.(원저: The Sounds of Chinese(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왕리가(2005), 漢語拼音方案與世界漢語語音教學, 世界漢語敎學, 6쪽.
24. 윤은경(2011), 음성 산출의 정규화(normalization)방법 비교: Bark Diff., Lobanov, Nearey 1&2, W/F, 언어학, 제59권, 73-74쪽,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5. 윤지현, 성철재(2013), F1/F2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모음의 지각판별에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5권 제3호, 39-46쪽, 한국음성학회.
26. 이미경(2006), 중국어 모음 e와 o의 이중모음성 고찰, 중국어문학, 48권. 237쪽.
27. 이익섭 외2인(1997), 한국의 언어, 86쪽, 신구문화사.
28. 이주행(2002), 한국어의 발음 교육 방법, 이중언어학 제20호, 260-263쪽, 이중언어학회.
29. 이현복(2003), 한국어의 표준발음, 교육과학사.
30. 임도, 왕리가(1992)/심소희 (역)(2013), 중국어 음성학, 77쪽-85쪽, 교육과학사.(원저: 语音学教程)
31. 장향실(2002), 중국어 모국어 화자의 한국어 학습시 나타나는 발음상의 오류와 그 교육 방안, 한국어학, 제15권, 211-227쪽, 한국어학회.
32. 정명숙(200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한국어학, 38, 346-369쪽, 한국어학회.
33. 조문우(2006),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학지, 제21집, 365-387쪽, 중국어문학사.
34. 추이진단(2002),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교육, 이중언어학 제20호, 이중언어학회.
35. 학미(2006),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모음 비교연구: 실험음성학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한재영 외 7인(2003), 한국어 발음 교육, 한림출판사.
37. 허웅(1995), 국어학-우리말의 오늘·어제, 62쪽, 86쪽, 새문화사.
38. Interaction of Native- and Second-Language Vowel System(s) in Early and Late Bilinguals
39. Ladefoged, P.(1993), A course in phonetics. Fort Worth: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
40. A perceptual model of vowel recognition based on the auditory representation of American English vowels.
41.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4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8년 5월호,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www.immigratio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