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부속 기관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개 목적이 동일한 집단이다.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6개월~1년간 언어를 공부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은 이런 특수한 목적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것은 유럽공통참조기준에서 부분적 능력이라고 부르는, 선택적으로 계발된 능력이라고 생각된다.
이 발표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상의 교육목표를 기술하고 평가의 기반으로 삼기 위하여 유럽공통참조기준의 숙련도 척도와 등급기술 문항들을 사용하는 예를 보이고, 특히 대학에 입학할 자격을 심사하는 한국어 시험의 듣기 평가문항을 구성하는 문제를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