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영어에서 Tough구문은 주동형태로 피동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수성을 보인다. 중국어에서도 이런 Tough구문이 존재하는데, 이를 중국어로 `難易`구조로 번역한다. `NP+好V`는 전형적인 `難易`구조다. `好`의 의미에 따라 본고는 `NP+好V`를 `NP1+好1V1`와 `NP2+好2V2` 두 가지로 나누는데, 그 중 `好1`는 쉽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Tough형용사에 속하는 반면, `好2`는 만족스러운 성질을 갖음을 나타내며 Tough형용사에 속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두 구조가 일정한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본고는 이 두 구조를 모두 연구 대상으로 삼아 대비하여 고찰하였다.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V의 성질 측면에서, V1로 쓰일 수 있는 동사는 1가, 2가, 3가 세가지 결합가의 동사를 포함한다. 이런 동사는 절대다수 자주동사이며, 극소수만은 비자주동사이다. V2로 쓰일 수 있는 동사는 모두 2가 자주동사다. V2류동사는 높은 사용 빈도를 지닌 V1의 허화를 통해서 발전해온 것으로 계속 증가한 추세를 보인다. 둘째, NP와 동사V의 의미관계 측면에서, 영어의 경우는 대상-동작이라는 관계만 이룰 수 있는 반면, 중국어의 경우는, NP1와 V1는 대상-동작, 수혜자-대상-동작, 행위자-대상-동작, 시간-동작, 결과-동작, 장소-동작 등 다양한 의미관계를 이룰 수 있고 V2와 NP2는 동작-대상의 의미관계만 이룰 수 있다. 셋째, 부정형식, 반의형식, 동의형식의 측면에서, `好1V1`와 `好2V2`는 모두 `不+好V`라는 부정형식을 갖고, 모두 `難+V`라는 반의형식을 갖는다. 모든 `好1V1`는 하나의 `難1V1``와 대응하지만, `好2V2`는 그렇지 않다. `好2V2`와 `難2V2`의 비대칭은 그들의 사용빈도, 허화정도와 관련된다. `好1V1`의 동의형식은 `容易V1`이지만, `容易V1`의 사용범위는 `好1V1`보다 넓다. `V2起來好2`는 대체 `好2V2`의 동의형식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