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본고는 한국인 학습자가 현대중국어의 방위사 ‘中’을 사용할 때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세부 유형별로 그 발생 원인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 학습자에 적합한 유형별 교육 중점 사항과 수준에 따른 단계별 교육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한국인 학습자의 유형별 오류 빈도는 첨가, 누락, 대치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 중 첨가오류는 주로 모국어의 간섭, 특히 ‘중’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누락오류는 한국어 ‘∼에/에서’를 중국어 ‘在’, ‘从’에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이때 처소화의 필수 조건인 방위사의 탈락 현상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대치오류는 주로 한국어 ‘중’의 용법을 중국어에 잘못 적용하거나, 다른 방위사가 사용된 전치사구의 기능과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오류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 ‘中’을 교육할 때 중점사항을 8가지로 정리하고 학습자의 목표어 수준에 따른 수준별 교육 단계를 제안하였다. 초급단계에서는 ‘中’의 기본적인 의미에 해당하는 ‘한 가운데, 복판, 중심, 중앙’과 ‘일정한 범위 안에’, ‘여럿 가운데’, ‘시간범위’ 등의 기능을 익힌다. 중급단계에서는 ‘추상 공간’, ‘어떤 동작 행위의 과정’, ‘어떤 상황이나 상태’의 내부, ‘지속이나 진행’을 나타내는 기능을 파악해야 한다. 고급단계에서는 ‘中’의 전체기능을 파악하고, 한국어 처소격조사 ‘∼에/에서’와 ‘중’, ‘가운데’, ‘속’, ‘안’ 등의 차이와 특징을 익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