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우리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 생활용품은 비장애인 대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만약 장애인이 이 생활용품을 사 용하려면 별도의 안내인이 필요할 정도다. 그런데 현대사회를 이루고 있는 장애인 비율을 보면 전세계 15%, 국내 5%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만 명 중 561명꼴로 장애인수는 전체 인구의 약 6%에 해당되지만, 사고, 질병 등의 후천적 장애가 대부분이며 현재 고령화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면, 실제 추정 장애인수는 훨 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유로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생활용품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은 필수요소라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생활용품 중 샴푸와 바디워시 3종을 선정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사례를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의 6원칙을 적용,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해보고, 어떻게 계획 되어야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가를 해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 은 세가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용자가 표기사항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문자 가독성을 고려하여 글자체 및 글자크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품의 중요정보를 시각적으로 돋보이도록 일러스 트 등의 적용이 필요하며, 표시 구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중요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 지정 등의 세부항목이 추가된 법적근거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