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디지털 미디어아트에 관한 연구는 미학적, 철학적인, 기술적 접근뿐만이 아니라 표현 요소들 사이의 관계도 살펴야 한다. 본고에서 디지털 미디어아트에 표상된 인간 이미지 표현 방식을 빌 비올라(Bill Viola)와 마틴 구티에레즈(Martine Gutierrez)의 주요 작품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들은 다양한 테크놀로지와 미디어를 이용하여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유명 작가들이다. 비올라와 구티에레즈의 작업은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포스트모던 형식을 빌려 관객과의 소통과 참여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빌 비올라의 주제는 신과 인간, 인간의 삶의 표현, 인간의 이성과 감각에 부여하는 정신성에 집중한다. 마틴 구티에레즈는 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 소수 민속과 트렌스젠더의 사회적 시선과 자아에 관한 주제를 대중적 패션 매거진 광고 사진 형태로 표현한다. 여기서 이 둘의 구체적인 표현 방법을 세 가지를 기준으로 분석했다. 그 기준은 인간 이미지 표현, 신체 표현, 연극 연출 표현이다. 고찰해본 결과 빌 비올라의 인간 이미지 표현은 숭고한 인간, 영적인 인간, 유한한 인간, 발전하는 인간 이미지를 표현했다. 신체 표현은 감정이 담긴 얼굴, 감정이 담긴 신체, 얼굴 클로즈업 표현이 두드러진다. 연극적 연출 표현은 프레임 병치를 통한 르네상스 제단화식 연출 표현이다. 마틴 구티에레즈의 인간 이미지 표현은 미를 추구하는 인간, 공동체 정체성을 탐구하는 인간 이미지를 표현했다. 신체 표현은 섹슈얼리티표현, 상품화, 클로즈업 기법, 단독 프레임 표현이 두드러진다. 연극적 연출 표현은 스테이지 포토 형식 표현, 화려한 감각적 광고 연출 표현, 군상 사진의 숨은그림찾기식 표현, 독사진의 증명사진 구도 표현이 나타났다. 이들의 주요 작품의 표현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이들 작품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였다. 현대 사회의 물질·정신·문화적 흐름과 인간상의 질문에 대한 현대 디지털 미디어아트 관련 창작자와 연구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