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현대 사회는 공동체의 커뮤니티 활성화로 지역 사업을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 개념을 Tonnies(1955)의 연구에서 확인하고, Taylor(2011)가 강조하는 시민의 역할을 논의한다. 그리고 영국의 사례로서 NDC와 일본 키타큐슈 에코타운 사업의 ‘적정처리’ 개념을 확인한다. 한국의 제4차 국토종합계획의 주요 내용, 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을 확인한다. 1990년 이후 신자유주의를 중심으로 시민의 공동체에 직접 참가를 논의한다. 사업은 주민, 지방자치단체, 지역 전문가. 대학, 기업 협의체를 중심으로 확인하다. 또한, 공동체 사업에서 전략적인 스토리텔링을 강조한다. 스토리의 가치는 난단 닐레카니(2008)의 창조성과 조합에 주목하고, 디자인 카운슬의 ‘더블 다이아몬드 프레임 워크 서비스 방법론’에서 상호 융합 구조를 보완한다. 사전 연구를 보완하여 가치 창출을 위한 5단계 과정과 체계를 제시한다. 공동체 분석은 스토리, 융합, 가치의 순환을 중심으로 주인공, 갈등, 장래 요인, 원형, 가치, 순환, 융합 체계, 스타일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청년 일자리를 위한 스토리 창출 형으로 평택 통복 시장, 지역 정체성을 담는 역사 공간 형은 군산과 전라남도 함평군, 자연과 공존을 선택한 생태 공간 형 순천,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기획 공간 형 청라호수공원이다. 설문 결과는 지자체 스토리에 대한 가치와 순환 구조, 융합, 디자인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이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전략화, 가치의 융합 모델, 가치의 공감을 통한 사회적 확대, 다양한 가치가 순환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분석을 통하여 8가지 요소를 통한 공동체 사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가치 창출 체계를 기본으로 공동체 가치 창출을 위한 4가지 요소 중심에 융합 체계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