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보기
클라운은 인류학, 극문학, 인문학, 대중문화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캐릭터로서 상징적인 의복들은 현대 패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클라운 이미지의 표현특성과 의미분석을 그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클라운과 관련된 국내· 외 전문서적과 관련 분야의 연구논문,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자료를 통하여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2000~2020년에 보그(Vogue), 엘르(Elle) 사이트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먼저 클라운 이미지의 표현특성은 유희성, 양의성, 악마성, 퇴폐성으로 분류되었다. 유희성은 복식과 신체의 과장·축소·왜곡화, 이질적인 아이템들의 부조화적 조합, 은유적 정치 및 사회풍자 메시지, 기괴한 워킹과 난해한 퍼포먼스, 장난스러운 성적 암시 등으로 나타났다. 양의성은 분할 메이크업과 아방가르드한 소재의 헤드기어를 통한 자아와 상징적 자아의 형상화, 양성적 이미지의 젠더리스 표방, 이질적 요소의 믹스매치, 상반되는 양가적 감정의 동시 표현 등이 주요하다. 악마성은 불길한 이미지의 동물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혼종적 이미지, 공격적 아이템과 죽음의 형상을 통한 공포감 조성, 스릴과 충격을 주는 경악스러운 퍼포먼스와 멜로디 등이 있다. 퇴폐성은 가학적 성 아이템의 착용과 신체의 노출, 사회적 방탕을 조장하는 문구와 행위 표현, 광기 어린 반사회적 캐릭터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클라운 이미지가 갖는 의미로는 도덕적 코드와 사회적 관습의 전복 그리고 억압된 인간 정신과 감정의 해방으로 해석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클라운의 역사와 함께 대중문화 속에서 발전해온 클라운을 총체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클라운이 현대 패션 디자이너의 감성 및 미학이 반영된 소재 확장성과 의미 있는 패션 메시지 전달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