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버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구매논문
장바구니
고객센터
주제별인기논문
이슈논문
맞춤논문
최근 본 논문
0
마이페이지
결과 내 재검색
|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
|
>
청람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
70권 0호
청람어문교육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주제 : 어문학분야 > 국어학
- 성격 : 학술지
- 간기: 격월
- 국내 등재 : KCI 등재
- 해외 등재 : -
- ISSN : 1598-1967
- 간행물명 변경 사항 : 청람어문학(~1999) → 청람어문교육(2000~)
알림서비스 신청
RSS
수록 범위 :
70권 0호 (2019)
전체 수록 범위 보기
전체선택
바로구매
장바구니
보관함
인용하기
EndNote
Refworks
Scholar’s Aid
Excel
TXT
정렬
10개
3.
음운변동 용례와 음운론적 복잡도
박선우 ( Park Sun-woo )
청람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70권 0호
, 2019 pp. 357-392 ( 총 36 pages)
키워드보기
초록보기
PDF 미리보기
7,600
원
바로구매
장바구니
키워드보기
문법 교과서
문법 용례
음운 변동
정보 이론
음운론적 복잡도
Korean grammar textbook
grammar examples
phonological process
Information Theory
Phonological Complexity
닫기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변동의 조건과 내용에 부합되는 용례들의 음운론적 복잡도를 평가하여 문법 교과서의 집필 과정에서 보다 자연스럽고 적합한 용례를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최근 음운론 연구에서는 비범주적인 양적 지표가 음운론적 적형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양적 지표를 활용하면 문법적인 형태나 음운론적 표상들이 언어사용자의 경험과 직관에 얼마나 부합되는지 계량적인 수치로 평가할 수 있다. 문법 교과서에 제시된 대부분의 용례들이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조건과 원인, 기저형과 표면형 사이의 관계, 음운현상의 공시적인 규칙성을 잘 보여준다 하더라도 같은 조건이라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용례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소의 사용빈도와 출현 확률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음운론적 복잡도’를 음운변동의 용례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음운변동에서 일어나는 복잡도의 변화를 고려한다면, 음운현상의 성격에 따라 기저형과 표면형의 복잡도를 구분하거나 절대적인 복잡도 외에 복잡도의 증감을 고려하여 용례를 선정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닫기
2.
교과내용지식(SMK)을 위한 한글의 음성·음운학적 지식 고찰-초성자 제자 원리와 제자 과정을 중심으로-
김부연 ( Kim Bu-yeon )
청람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70권 0호
, 2019 pp. 393-425 ( 총 33 pages)
키워드보기
초록보기
PDF 미리보기
7,300
원
바로구매
장바구니
키워드보기
교과내용지식
교사용 지도서
한글 제자 원리
음성·음운학적 지식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
Subject Matter Knowledge
teacher`s guidebook
principle of letter creation
Phonetic and Phonemic Knowledge knowledge
≪Hunminjeongeum Haeryebon≫
< Principles of creating Hangul Letters >
닫기
초록보기
이 연구는 교사의 교과내용지식, 곧 교사가 알아야 할 지식에 강조점을 둔다. 한글의 제자 원리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도모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 지식으로서의 교과내용지식을 마련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교과내용지식(SMK)’의 개념과 범위를 설명하고, Ⅲ장에서 교사용 지도서를 통해 한글 제자 원리에 대한 교과내용지식의 실체를 살폈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앞서 지도서에서 살핀 교과내용지식의 한계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글 제자 원리의 본질에 대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과내용지식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았다. 그 결과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초성자 제자에 반영된 음성·음운학적 지식을 정확히 숙지하고, 초성자 제자 원리에 대한 결과론적 지식을 과정적 지식으로 귀납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한글의 제자 원리에 대한 교과내용지식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며, 한글의 제자 원리를 제대로 가르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닫기
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사 단원 분석 연구
이혜원 ( Lee Hye-won )
청람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70권 0호
, 2019 pp. 427-461 ( 총 35 pages)
키워드보기
초록보기
PDF 미리보기
7,500
원
바로구매
장바구니
키워드보기
국어사 교육
문법 교육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학습자 중심 교육
학습 자료 선정
학습 내용 선정
학습 활동 구성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Grammar Educati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earner-centered Education
Selection of learning material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rganizing learning activities
닫기
초록보기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사 단원을 분석한 연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있으며, 그 이론적 기반은 이해 중심 교육과정이다. 이에 국어사 단원 내 언어 자료와 학습 내용 요소 선정, 학습활동 구성을 중심으로 국어사 교육의 개신이 얼마나,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어 자료의 종류와 개수, 활용 방식이 상당히 제한적이었고, 교과서마다 선정한 학습 내용 요소에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학습활동은 언어 자료에서 설명된 지식 요소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하는 유형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모습들은 국어사 교육을 통해 갖추어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 국어사 수업에서 학습자에게 반드시 제공해야 할 경험이 무엇인지 충분히 논의하지 못한 상황에 기인한다. 이처럼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국어사 단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약간의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유의미한 논의들을 통해 가능성 또한 엿볼 수 있었다.
닫기
<<
1
2
이 간행물 내에서 논문 검색
검색유형
전 체
제 목
저자명
발행기관명
키워드
초록
검색유형